고양형 혁신교육지구 역량강화를 위한 공동체 욕구조사

태그

카테고리

진행연도

파트너

결과물

#혁신교육지구 #미래교육지구 #청소년

연구

2018

고양시청

연구보고서

<고양형 혁신교육지구 역량강화를 위한 

공동체 욕구조사>


프로젝트 핵심 질문

“교육혁신의 주체는 누구이며, 어떻게 만들어갈까?”


프로젝트 요약

  • 주요 파트너: 고양시청
  • 프로젝트 진행기간: 2018년 5월 - 2018년 12월 (7개월)
  • 프로젝트의 목표: 고양시의 교육주체들과 함께 고양형 혁신교육지구의 비전 빛 사업방향을 수립한다.

프로젝트 내용

학교 안과 밖의 교육을 하나로 묶어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축하고 평생학습 시대를 함께 준비하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이 전국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고양시의 의뢰를 받아 2018년 5월부터 약 7개월간 고양시 교육공동체의 욕구를 바탕으로 고양형 혁신교육지구의 비전 및 사업 방향을 수립하는 연구 프로젝트로 진행되었습니다. 진저티프로젝트는 연구 과정에서 교사 간담회, 교육주체별 FGI, 교육공동체 워크숍, 온라인 서베이 등을 진행하면서, 고양시 교육공동체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고양시의 교육 자원 및 강점, 이미 시작된 움직임들을 토대로 한 고양형 혁신교육지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든 목소리

“아이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고 지역을 사랑하도록 해야될 것 같아요.아이들 중에 덕양구를 좋아하는 아이들이 없어요.고양시는 일산이라고만 생각하는데, 고양시에 대한 관심,덕양구와 우리가 살고 있는 마을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싶어요.

수원은 화성을 정말 잘 활용하는데,고양은 세계문화 유산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자원을 잘 활용 못하는 게 아쉬워요.고양시가 아이들에게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는 게 느껴지도록,아이들이 자라서 고양시를 떠나지 않고 이 마을에 들어와 다시 살 수 있도록 하는 뭔가가 필요해요.” 

- 연구 참여 교사 K


프로젝트를 통한 실험

  • 진저티프로젝트의 연구가 공교육 영역을 향해 첫발을 떼는 과정이었습니다. 공교육 변화의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 전국 20여 개 혁신교육지구 중 최초로 학생을 포함한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인식과 욕구를 심층 조사해봤습니다. 고양시 교육 주체 약 1,000명을 온·오프라인에서 만났습니다. 교육 주체들의 목소리가 반영된 사업 방향을 수립하고자 하는 시도였습니다.

  • 고양시 온마을배움지원센터를 비롯한 혁신교육지구 전담팀 단위에서 Collective Impact 접근법의 초기 단계를 시도했습니다. 모두가 함께하는 교육인만큼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고 연결되는 방식으로 교육 사업 계획을 실행했습니다.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고양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목소리를 들어본 결과, 공동체의 공통적인 욕구를 발견해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틈과 결, 꿈과 쉼이 있는 배움터’

  • 틈과 결이 있는 배움터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배우는틈- #공간 #접점 (틈을 만들고 문을 열기)결- #연결 #지속 (연결되고 협업하며 고민 이어가기)‘우연의 숲 만들기’

  • 꿈과 쉼이 있는 배움터 
    아무도 배움에서 소외되지 않는꿈- #진로 #성장 (모두의 꿈이 존중받는 다양한 선택지 만들기)쉼- #쉼터 #회복 (쉼이 있고 돌봄이 있는 관계공동체 만들기)‘작지만 새로운 실험들 시도하기’


프로젝트 결과 자료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