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형 지역특성 연계 고교학점제 모델 발굴 연구

태그

 

카테고리

진행연도

파트너

결과물

#청소년 #미래교육 #혁신교육지구 

#미래교육지구

연구

2020

고양 온마을배움지원센터

연구보고서

<고양형 지역특성연계 고교학점제 모델 발굴 연구>


프로젝트 핵심 질문

“고교학점제라는 거대한 파도가 교육 현장에 다가오고 있는 지금, 이 파도를 제대로 이해하고 우리답게 올라타려면 교육공동체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프로젝트 요약

  • 주요 파트너: 고양시청, 경기도고양교육지원청
  • 프로젝트 진행기간: 2020년 4월 - 2020년 12월 (9개월)
  • 프로젝트의 목표: 고양형 고교학점제 모델 발굴 및 제시 (한발 앞서-Ahead of the Game, 고양시 맞춤으로-Goyang Customized)

프로젝트 내용

  • 고양시 온마을배움지원센터와 함께 2020년 4월부터 12월까지 고양형 지역특성 연계 고교학점제 모델 발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들의 경험과 현장의 목소리를 토대로 2022년 경기도, 2025년 전국에서 전면 시행 예정인 고교학점제를 한 발 앞서 준비하고자 합니다. 
  • 핵심교사 그룹을 발굴하고 학습공동체 기반을 조성하며,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학습자 중심 지역공동교육과정을 개발하여, 학생의 주도성과 교사의 전문성, 학부모 및 지역의 참여를 통한 지역특성 연계 고교학점제 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 촉진, 확산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프로젝트를 통한 실험

  • 중등교육 안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을 실험했습니다.
    • 학생 및 교사 대상 수업 상상 워크숍을 통해 학생에게는 수업 선택권을 넘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주도권 제공
    • 교사에게는 학교 밖 자원과의 연결 및 새로운 수업에 대한 상상의 기회 제공

  • <학습자 중심 지역공동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을 제안했습니다.
    • 학습자 중심, 교사 학습공동체 구축
    • 학부모의 공감과 참여
    • 충분한 진로 탐색 과정, 블렌디드 러닝
    • 지역 자원 연계의 통합 적용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 피할 수 없는 파도라면 한 발 앞서 준비하고, 가장 우리답게 올라타며, 고교학점제 선도학교들의 경험을 귀 기울여 듣고 현장에서 답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 학생들의 과목 선택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는 교사들의 다교과 지도 및 시간표 작성의 어려움, 충분한 진로 탐색 기간 없이 입시 위주로 돌아가는 시간표에 맞춰 진로를 정해야하는 학생들의 어려움 ->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점진적 전환 (학생들에게 과목 선택권을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스스로 수업을 설계하고 주도할 수 있는 기회 제공, 학생- 교사 공동 수업 설계 및 학습자 중심 지역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학습, 연구, 개발, 운영), 지역 내 중-고-대 연결 및 학교-학교, 학교-지역 간 연결을 통한 진로 탐색 네트워크 운영

  • 지역의 다양한 인적 물적 자원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교사(학교)에게 집중된 고교학점제 운영의 책임과 부담을 공동체가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청과 교육청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지역 자원의 연결 (학교-학교, 학교-지역 등), 지역공동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 연구, 개발, 운영, 공유, 확산을 통해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 파도를 타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실험하기에 안전한 환경을 만들고, 실험하고 도전하는 마음들을 응원하고 지지하는 문화였습니다.
    • 핵심 교사 그룹의 발굴과 격려, 다양한 교사 학습공동체의 조성과 지원, 학생-교사 수업 상상 워크숍 파일럿 운영 지원, 학생 및 학부모 교육과정 코디네이터의 모집 운영 등 작고 빠른 실험과 작은 성공들을 경험하면서 학습과 성장의 문화 조성. 특히, 교사들이 교육과정 연구 및 수업 운영의 전문가로서 본연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을 아는 지원 방안을 고민


프로젝트 결과 자료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