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미래교육지구 모니터링 연구
부제
태그
카테고리
진행연도
파트너
결과물
생태계는 저절로 자라나지 않는다. 누군가의 헌신과 수고로움으로 성장하는 것.
#교육생태계 #혁신교육지구 #미래교육지구 #청소년 #교사 #마을강사 #워크숍 #연구보고서
연구
2022
연구보고서
프로젝트 핵심 질문
“고양시 혁신교육지구(現 미래교육지구)에서 발견한 의미있는 가치는 무엇인가?”
”어떤 부분들이 지속되고 점검되어야 할까?”
프로젝트 요약
프로젝트 내용
지난 5년간 고양 교육공동체는 장기적인 의지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의미있는 성과들을 만들어왔습니다.
어느 한 주체의 개별적인 노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모든 교육주체들이 함께 한 방향으로 머리를 맞대며 협력과 신뢰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성장시킨 노력의 결과입니다. 교육주체들의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고양 혁신교육지구는 마을교육공동체를 넘어 ‘고양형 미래교육생태계’로 진화하였음을 아래 구축도로 표현하였습니다.
고양 미래교육생태계 구축도
고양 미래교육지구 주요 성과
2022년 혁신교육지구의 명칭이 ‘미래교육(협력)지구'로 변경되었고, 고양미래교육지구는 새로운 도약의 시즌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고양시의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지역의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역할을 분담하고, 교육 활동을 수행하는 시도들이 교육 현장에 잘 안착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확인하기 위해서는 진행 과정과 성과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헸습니다.
사업 모니터링을 통해, 고양미래교육지구가 어떤 변화와 성장의 과정을 거치며 발전해 왔는지, 어떤 성과가 있었고 그 요인은 무엇이었는지, 어떤 한계와 과제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는 동시에, 앞으로 고양미래교육지구가 새롭게 도약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해나가기 위한 발전방안으로서 성장 지표를 제안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든 목소리
“어떻게 강사와 교사와 아이들, 세 주체가 소통하는지를 보여드리고 싶다. 교사의 입장에서의 키워드는 ‘소통’이었고 아이들 입장에서의 키워드는 ‘학생 주도 수업’ 그 다음에 ‘협력 수업’이었어요. 일방적인 강의가 아니라 그 아이들에게 리스너가 되게 하지 말고 좋은 리스너와 스피커 그리고 좋은 협력자가 되어 보게 하는 경험을 갖게 해주고 싶었어요. 수업이 세련되고 잘 된 수업은 아니라서 부끄럽지만 진심을 담은 수업이었다. 수업에 진심인 사람이 되고 싶은 거죠. 그게 욕심이죠.”
- 지역연계 프로젝트수업 참여 교사
“진저티프로젝트가 이 프로젝트의 의미와 사례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발표해주셨을 때 연구하는 단체가 함께 하신다는 것의 의미를 알 수 있었어요. 행주산성 갔을 때 제가 그렇게 열변을 토한 것도 그렇고 오늘 제가 아이들 데리고 혜화까지 갔다 오느라 좀 피곤하지만 이번 FGI에서도 저희의 이야기를 잘 담아서 남겨주실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어요.”
- FGI 참여자
“처음에는 제가 다 찾아드렸지만 지금은 선생님들끼리 서로 서로 알아봐주시고 찾아주세요. 선생님들에게 경험치가 쌓여가는 거죠. 이런 것들이 바로 확장되고, 연결되고, 유지되는 힘이 아닐까요?”
- 워크숍 참여자
프로젝트를 통한 실험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프로젝트 결과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