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마을교육생태계 구축 연구
부제
태그
카테고리
진행연도
파트너
결과물
2023 문화가 있는 날-지역 간 연계 협력사업
#마을교육생태계 #미래교육 #미래교육생태계 #혁신교육지구 #FGI #워크숍 #연구보고서
연구
2022
연구보고서
프로젝트 핵심 질문
“부천 교육공동체가 바라는 미래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부천 미래교육생태계는 어떻게 구축되고 발전할 수 있을까?”
프로젝트 요약
프로젝트 내용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참여실행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와 연구 공동체(Co-Creation Team), 리빙랩(Living Lab) 전략을 사용하여 연구에 참여하는 교육주체들이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함께 만들어가는 미래교육생태계를 경험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국내외 문헌 조사와 이해관계자 사전 인터뷰, 교육주체별 초점그룹인터뷰, ‘우리-마을’ 워크숍, 타지역 센터 담당자 초점그룹인터뷰, 부천미래교육센터 내부 워크숍,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부천미래교육센터 구성원들과 함께한 내부 워크숍(2회)과 다양한 교육주체들이 함께 모이는 ‘우리-마을’ 워크숍(2회)을 진행함으로써, 리빙랩 방식으로 참여자 스스로 미래교육생태계 조성 방안을 모색하고 도출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반응형 온라인 설문조사 플랫폼인 Typeform을 활용하여 1,420명의 부천 교육주체들과 부천시 미래교육에 관한 미니 온라인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미래사회 변화의 흐름과 부천 교육공동체의 목소리를 토대로 도출된 부천 미래교육 비전은 ‘실제 삶과 연결된 배움’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관계를 맺고, 스스로 주도하며, 건강한 시민으로 자라는 배움’이라는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특히, 관계성, 주도성, 시민성이라는 3가지 교육 목표를 제시하였는데, 첫째, 관계성 (Relationship) : 학교 안팎을 넘나들고 연결되어 나를 알고 타인을 공감하는 배움, 둘째, 주도성 (Ownership) : 자유롭게 탐색하고 선택하며 스스로 주도하는 배움, 셋째, 시민성 (Citizenship) : 개인을 뛰어넘어 공동체를 돌보고 가꾸며 함께 성장하는 배움입니다. 각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과제로는, 부천형 교육과정 개발, 1:1 진로 멘토링, 청소년 제안형 진로직업 체험 기획단, 청소년 인턴십, 미래 학습단, 부천 미래교육 컬렉티브 등을 제안하였습니다.
프로젝트를 만든 목소리
”아이들에게 마을은, 우리를 가장 잘 이해해주는 어른이 있는 곳이라고 생각해요. 아이들이 무언가 해보려고 할 때 가장 안전하게 느끼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이요.”
- ’우리-마을’ 워크숍 참여 학부모 L
”학생들의 배움에 조금 더 자율성을 주면 청소년들이 더 행복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학교나 마을활동에서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요.”
- ’우리-마을’ 워크숍 참여 학생 N
”학교 안에서 배우는 것과 학교 밖에서 배우는 것이 다르지 않은 것, 교육과 삶은 더이상 동떨어질 수 없어요. 학생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야 해요.”
- ’우리-마을’ 워크숍 참여 교장 K
프로젝트를 통한 실험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프로젝트 결과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