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리더스 시즌6

부제

태그


카테고리

진행연도

파트너


임팩트 리더스랩

#임팩트생태계 #임팩트 리더 #리더십
#커뮤니티

교육, 네트워크

2024 

루트임팩트 



프로젝트 핵심 질문

"임팩트 리더들을 위한 안전한 커뮤니티는 어떻게 조성할 수 있을까?" 

"임팩트 리더의 성숙을 위해 필요한 경험과 관계는 무엇일까?"

 "임팩트 리더들이 개인의 성장 뿐 아니라 구성원과 조직, 생태계의 성장에 기여하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프로젝트 요약

  • 주요 파트너: 루트임팩트
  • 프로젝트 진행기간: 2024년 7월 - 12월 (6개월)
  • 프로젝트의 목표:
    임팩트 지향 조직의 대표들이 임팩트 리더로서 스스로를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조성한다. 특히, 임팩트 리더들을 위한 안전한 대화 환경을 만들고, 조직 밖의 동료들을 만나 안전감과 신뢰감에 기반한 지속적인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연결한다. 지식보다는 실천 중심 및 경험 기반의 무브먼트를 지향한다. 리더 개인의 배움과 성장을 넘어 조직에 적용하고, 나아가 임팩트 생태계의 동반 성장을 지향한다.

프로젝트 내용

헤이리더스는 루트임팩트가 운영하는 임팩트 지향 조직 대표들의 리더십 성장을 지원하는 커뮤니티로, 더 많은 임팩트 지향 조직 리더들이 ‘임팩트 리더’ 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헤이리더스의 새로운 시즌을 여는 시그니처 프로그램인 ‘임팩트 리더스랩 (Impact Leader’s Lab)’은 임팩트 리더들을 위한 온보딩 실험실로서, 기존 리더십과는 다른 ‘임팩트 리더십’을 새롭게 정의 및 확산하고, 임팩트 리더들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조성합니다. 루트임팩트와 진저티프로젝트는 임팩트얼라이언스, SIO와 함께 워킹그룹을 형성하여, 총 20명의 임팩트 리더들을 대상으로 4개월에 걸쳐 임팩트 리더스랩를 진행하였습니다.

*임팩트 리더란, 소셜벤처, 사회적기업, 비영리 조직 등 임팩트 지향 조직의 리더로서 사회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혁신가인 동시에 임팩트 생태계를 조망하며 다음세대를 키우는 리더들입니다.

헤이리더스 시즌6 임팩트 리더스랩의 핵심 키워드는 [레퍼런스 + 커뮤니티 + 무브먼트]입니다.

  • 레퍼런스 (reference) : 임팩트 리더로서의 자기 인식 및 다양한 임팩트 리더십 레퍼런스와의 만남과 연결 (선배 및 동료 리더)
  • 커뮤니티 (community) : 임팩트 리더들을 위한 조직 밖 동료, 안전한 대화 환경 및 커뮤니티의 조성, 연결과 지속
  • 무브먼트 (movement) : 지식(강의)보다는 실천(회고와 반영) 중심, 리더 개인의 성장을 넘어 조직 변화와 생태계 동반 성장을 이끄는 경험

프로젝트를 만든 목소리

“헤이리더스는 저에게 2주에 한 번씩 회고하는 시간이었고, 결국 '본질'에 다가가게 되었습니다. 왜 이 일을 시작했는지, 동료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됐어요. 올해 우리가 너무 많은 일을 하고 다들 지쳐가면서 본질을 잃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헤이리더스를 통해 그 본질을 다시 찾게 되었습니다.” 

“'자기다움', 결국은 존재에 대한 발견이었습니다. 팔로워는 잘할 수 있는데, 갑자기 리더라는 자리에 서게 되었죠. 주식회사의 대표라는 고정된 이미지 때문에 두려웠는데, 헤이리더스를 통해 깨달은 것은 조직이 나와 분리될 수 없다는 거예요. 내가 만든 조직은 나를 닮을 수밖에 없고, 그래도 괜찮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헤이리더스가 임팩트 생태계를 알아가는데 포문을 열어주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 자리를 통해 난이도 낮게 이야기 나눌 수 있었고, 내적 친밀감도 생겼습니다.”


“저 혼자 레벨업했다기보다 동료 리더들과 함께 레벨업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지식이 아니라 서로 살아온 삶과 배운 것들이 같이 버무려져서 조금씩 더 성장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프로젝트를 통한 실험

  • 워킹그룹의 先(선)경험
    프로젝트의 준비-진행-회고까지 총 6개월이 넘는 긴 호흡의 협업 과정을 통해 워킹그룹이 먼저 공동 학습 및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앞선 경험에서 배우고 느낀 것을 퍼실리테이터로서 참여 리더들에게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 [계획-실천-회고-반영]의 실험 과정
    6회차의 프로그램이 [계획-실천-회고-반영]의 순환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참여 리더들의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반영하여, 점진적이고 순환적이며, 참여적인 과정이 되도록 진행하였습니다.

  • 강의보다 회고, 대화, 실천 중심 프로그램
    일방향의 특강 위주 리더십 프로그램을 탈피하여, 게스트의 발제 시간을 과감히 줄이고 참여자들간의 대화와 질의응답, 실천(실천과제, 실험일지) 중심의 리더십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리더들이 스스로를 인식하고, 조직으로 돌아가 실천할 수 있도록 촉진하였습니다.

  •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장치들
    공식적인 프로그램 외에도 온라인 커뮤니티 (슬랙)과 가벼운 우정 지원금, 북런치 등 비공식적인 모임을 촉진함으로써 참여 리더들이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관계를 맺도록 유도하였습니다.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 임팩트 리더들 자기인식의 중요성 인식
    선배 및 동료 리더들과의 만남과 대화, 회고, 실험일지 기록 등을 통해 임팩트 리더들이 리더의 자기다움,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 임팩트 리더들을 위한 안전한 커뮤니티 조성
    공식, 비공식적인 모임을 통해 임팩트 생태계 내 외로운 섬과 같았던 리더들이 안전한 관계망, 커뮤니티를 조성함으로서 연결감을 경험하였습니다.
Cont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