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청도군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육성지원사업 지역 연구

태그 

카테고리

진행연도

파트너

결과물



#로컬 #연구보고서

연구

2024 

경북시민재단

연구보고서

<2024 청도군 지역관광추진조직(DMO) 육성지원사업 지역 연구> (추후 공개 예정)



프로젝트 핵심 질문

“청도의 숨겨진 매력은 무엇일까”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청도만의 특별한 매력은 무엇일까?”

“관광객이 청도에 더 머무르고, 다시 오게 하려면 청도의 어떤 매력을 어필하면 좋을까?”


프로젝트 요약

  • 주요 파트너: 경북시민재단
  • 프로젝트 진행기간: 2024년 5월 - 2024년 7월 (3개월)
  • 프로젝트의 목표: 
    • 청도 주민들과 청도 인근 지역 주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청도가 어떤 매력을 지니고 있는지 조명하고 입체적으로 파악한다.
    •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인사이트들을 정리하고 청도의 콘츄리함을 정의한다.
    • 정의된 콘츄리함을 기반으로 청도 DMO 사업의 세계관을 정립하고 세계관 컨셉을 제안한다.

프로젝트 내용

본 연구의 경북시민재단의 의뢰로 DMO(지역관광추진조직) 육성 지원 사업의 초기 단계에서, 브랜딩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청도의 콘츄리함을 정의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습니다. 이에 진저티프로젝트는 청도 사람들을 연구 공동체로 초대하고, 주변 지역의 관계인구를 인터뷰하며 청도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수집했습니다. 이를 위해 필드워크(Field work), 사전인터뷰, FGI(Focus Group Interview), 라운드테이블(Round table)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청도 토박이, 청도로 이주한 귀농⋅귀촌인, 청도 인근 지역에 살지만 청도에서 일하거나 청도에 자주 방문하는 관계인구, 그리고 잠재적 청도 여행자들의 목소리를 수집했습니다.


특히, 청도 토박이와 청도로 이주한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FGI와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했으며,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 나만 아는 ‘청도’의 OOO
  • 내가 ‘청도’를 선택한 이유
  • 청도를 찾는 관광객은 주로 어떤 사람들인가요?

프로젝트를 만든 목소리

"청도는 정서적으로는 나다움을 발견할 수 있는 곳, 그리고 도전할 수 있는 곳 그래서 느리기도 하지만 자유롭고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쉼을 얻을 수 있는 곳인 것 같아요."

-청도 귀농인, S


"영상이라는 걸 처음 접해보고 만들면서 나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들을 청도에서 많이(했고), 아내도 청도라는 환경에 와서 처음으로 자신의 재능을 부딪쳐가면서 할 수 있는 사실 이제 여유가 생겼어요. 돈 이런 게 아니라 둘 다 어떤 시간적인 여유가 이 청도라는 공간에서 충분히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게 아닌가 뭔가 꽁냥꽁냥 이렇게 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이다."

-청도 귀촌인, K


프로젝트를 통한 실험

  • 브랜딩을 위한 지역문화 재해석 연구
    브랜딩에 앞서, 지역의 문화와 관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기존 자료에 나와 있는 청도의 특산물이나 유명 관광지를 토대로 조사하지 않고, 청도의 고유한 가치를 반영하면서도 새롭고 차별화된 시도를 가능하게 한 중요한 과정이었습니다.

  • 지역민과 함께한 브랜딩 기초 연구
    청도의 지역 자원을 파악하고, 관광 활성화와 브랜딩을 위한 기초연구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청도 주민 및 관계인구가 청도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을 심층적이고 다각적으로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연구는 청도에서 태어나 살아온 청도 토박이, 청도에서 태어났지만, 외지에서 생활하다 돌아온 분들, 청도의 자연과 사람이 좋아서 귀농⋅귀촌한 분들, 그리고 주변 지역에 거주하면서 청도를 오가며 일하고 청도 주민들과 관계를 형성하는 관계인구 등 다양한 배경의 지역민을 연구공동체(Co-Creation Team)로 초청하여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집단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의견과 아이디어를 발산할 수 있는 FGI(FGI, Focus Group Interview) 형식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민들은 청도의 매력, 관광객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청도의 모습, 그리고 청도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잠재적 관광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역민의 관점에서 도출된 인사이트는 청도의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브랜딩에 연결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실험을 통한 인사이트

진저티프로젝트는 청도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그들의 목소리에서 '이야기'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그 이야기를 토대로 청도의 고유한 세계관과 콘츄리함을 정의할 수 있었습니다.

청도의 콘츄리함을 정의하기에 앞서, 이야기의 3요소인 인물, 배경, 사건을 중심으로 청도의 '시간', '공간', '자기' 개념을 해석하여 핵심 키워드를 도출했습니다.

시간은 청도의 다양한 계절과 시기, 공간은 청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명소, 자기는 청도를 방문하는 개별 여행객들을 의미합니다. 여행객들은 청도라는 배경 속에서 경험을 통해 새로운 사건을 만들어가며 자신만의 이야기를 완성해 가는 인물로 분석되었습니다. 청도가 시간과 공간, 그리고 개인의 경험을 통해 다양한 이야기가 만들어질 수 있는 장소임을 보여주며, 청도의 고유한 특성인 ‘콘츄리함’을 정의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되었습니다.


  • 도출된 키워드
  •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나온 청도의 콘츄리함
  • 세계관 '모드 전환'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상황에 알맞게 모드를 설정합니다. 청도를 방문한 여행객들은 청도의 콘츄리함을 바탕으로 ‘모드 전환’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효율을 중시하는 도시인의 모드에서 청도로 들어서는 순간 상상만 했던 가능성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청도에서 여행자가 경험할 수 있는 전환 나만의 속도로 전환이 되는 슬로우 모드, 자연으로 전환되는 네이처 모드, 다양한 자기의 오롯한 모습을 발견하는 캐릭터 모드입니다. 청도에서의 생활은 나만의 속도로, 자연 속에서 다양한 자기로의 모드 전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Contact